FlyingDeuk's Windows 3.0과 맥, 마우스의 등장으로 우리는 이미 GUI에 익숙해져 버렸다. 마우스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게 되었다… 라즈베리파이도 데스크탑버전(GUI base)으로 유사하게 발전했으며 이 역시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겠다. Windows의 원격데스크탑, Google의 크롬 원격데스크탑등이 유명하나 라...
FlyingDeuk's SAMBA는 윈도우에서 주로 네트워크로 사용하던 방식으로 같은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끼리만 사용하는 점과 자동 검색이 되는 점은 DLNA와 유사하나 사용자 권한등의 보안기능은 FTP와 닮아있다. 집안(로컬)에서 모든 파일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DLNA와 FTP의 중간정도 위치라고 보면된다. 집안 VPN 사용하면 외부에서도 ...
FlyingDeuk's 오래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이 FTP가 아닐까 생각한다. https는 웹 페이지를 위한 형식이라면 FTP는 파일에 집중하는 프로토콜이라 하겠다. 서버는 외부에서 사용해야하는 게 그 목적이니 FTP가 제일 활용도는 높을 것같다.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겠지만 스트리밍이 주인 어플이 있고 파일 관리가 주인 어플이 있다. ...
FlyingDeuk's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CLI(명령줄 제어)를 기본으로한다. 데스크탑 버전은 Windows와 MAC과 유사하게 발전했지만 익숙해지면 CLI의 장점을 알게된다. 제어의 기본인 SSH로 제어를 시작해보자. Wiki's 시큐어 셸(Secure SHell, SSH) 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
FlyingDeuk's 처음 라즈베리파이를 사서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많이 노력했다. 리눅스 중에는 우툰투가 가장 보편적이라하여… 결국은 라즈베리파이 OS에 정착했다. 모든 OS는 하드웨어의 종류에 맞게 Modify가 필요한데… 라즈베리파이에는 라즈베리파이 OS가 제일 가볍고 좋은 듯하다.. 처음부터 자세하게 포스팅을 하고 싶었지만 다시 설...
FlyingDeuk's 어느 회사의 공유기든지 최근들어 USB 포트로 서버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어있다. (KT에서 주는 공유기도 이러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지속 포스팅하겠지만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나만의 CLOUD(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노트북으로 USB에 영화를 다운 받고 다시 공유기 뒤...
FlyingDeuk's 대부분의 서버 기기에서 불리우는 해당 기능은 쉽게 말해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미디어파일 즉 동영상, 음악, 사진의 형식에 한해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아래의 설명에 더하겠지만 다른 파일 공유 방식과는 다르게 쉽게 연결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 그래서 이름이 미디어 서버인듯… 일반적인 스마트 기능을 ...
FlyingDeuk's KODI 라이브러리 관련 마지막 포스팅이다. 라이브러리로 영화를 연결했다. 그런데 다른 영화 포스터가 보인다면 이렇게 해결하면 된다. The Movie DataBase 줄여서 TMDB라고 불리운다. 이전 포스팅 설정에서 The Movie DataBase로 선택한 경우는 이렇게 하면된다. The Movie Dat...
최근들어 ftp의 순정접근은 막힌거 같다... FlyingDeuk's 원도우에서도 그러하듯이 맥북도 역시 간단하게 ftp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어플(유료, 무료..)이 있지만 Heavy하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런 방법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안정성이라든지 편의성은 떨어진다. Wiki's 파일 전송 프로토콜...
FlyingDeuk's 이전 포스팅에서 라이브러리 설정법을 살펴봤다. 문제는 KODI를 최초 시작하면 자동으로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는 하는데… 삭제된 영화를 지워주지 못했다. 자동으로 지워진 영화를 리스트에서 정리해주는 방법이다. Wiki's 라이브러리(Library) : 윈도우 탐색기는 다양한 위치로부터 콘텐츠를 한데 모을 수 ...